플러터/플러터 시작하기3 [Flutter] 플러터 시작하기 플러터(Flutter) 설치하기 : 나는 현재 맥북 프로 14 M3를 사용 중이기에 MacOS용으로 플러터를 설치했다. (VSCode도 미리 깔아두었음!) : 아래 링크의 영상 보면서 똥땅똥땅 열심히 따라했더니 설치가 잘 됐다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DDCqlDrWsXU + 영상 보고 하다가 flutter doctor가 XCode에서 cocoapods때문에 오류가 발생했는데 해결하는 방법을 정말 도저히 모르겠었는데 아래 강의 보고 순식간에 해결했다. 혹시 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 강의 한번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. (고민하며 구글링한 시간만 한시간은 넘었을 듯... 그래도 해결해씀 !!)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al_JgeouO.. 2024. 3. 17. [Flutter] StatefulWidget과 관련한 예제 프로그래밍 - 2 1. BuildContext의 이해 : StatefulWidget을 작성할때 build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BuildContext가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. : 이에 대해 아래 코드를 통해 확인해보자. 2. theme의 이해 : MaterialApp위젯의 속성인 theme에서는 ThemeData 라는 위젯을 사용할 수 있다. : 이에 대해 아래 코드를 통해 확인해보자. import 'package:flutter/material.dart'; void main() { runApp(App()); } class App extends StatefulWidget { @override State createState() => _AppState(); } class _AppState extends State { @ov.. 2024. 3. 11. [Flutter] StatefulWidget과 관련한 간단한 예제 프로그래밍 - 1 1. State : StatelessWidget은 build 메소드를 통해 UI를 출력할 뿐이다. : 반면 StatefulWidget은 상태를 가지고 있고 상태에 따라 데이터가 변화한다. : 위젯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고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변화를 보고싶을 때 사용한다. import 'package:flutter/material.dart'; void main() { runApp(App()); } //StatelessWidget은 build 메소드를 통해 UI를 출력할 뿐 //StatefulWidget은 상태를 가지고 있고 상태에 따라 데이터가 변화함 //->위젯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고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변화를 보고 싶으면 사용 //->두가지 부분으로 나눠짐 //->첫번째 부분은 상태가 없는 위젯 그 .. 2024. 3. 11. 이전 1 다음